
지향성압입공법
지중관로 공사 중 주변구조물의 파괴 및 변형을 초래하지 않고 지하 매설물을 설치하는 공법으로 복잡한 도심과 도로개착에 따른 교통혼잡 및 자원낭비의 경제성을 보완한 공법으로 지하에 미리 정한 경로를 따라 압입장비를 이용하여 도로, 철도, 하천 등을 횡단하여 전선관, 수도관, 가스관, 상하수도관, 통신관 등을 매설하고자 할 때 사용한다.
대표적인 비개착공법으로 최대굴착거리 3km, 최대굴착공 D1,200mm까지 가능하며 현장여건, 공사특성에 따라 적합한 장비를 선정한다.
정밀한 조종이 가능한 드릴헤드를 이용하여 직선 및 곡선으로 Pilot-Hole을 형성하고 지하 장애물이 나타날 경우 자유롭게 우회하여 진행할 수 있으며 장소가 협소하고 복잡한 도심지에서도 작업이 가능하다.
시공 흐름도
시공 순서도
작업 절차
타공법과의 비교
구분 | 지향성 압입 추진공법 (HDD) | 강관압입추진공법 | 세미실드공법 |
---|---|---|---|
공법개요 |
ㆍ 소규모의 추진기지 및 도달기지 설치 ㆍ 소구경의 DRILL HEAD로 물과 BENTONITE 혼합물을 높은 압력으로 분사하여 PILOTBORITNGD을 한 후 굴곡성 있는 파이프를 매설 ㆍ 네비게이터라는 장비를 이용하여 굴진 암반층 작업이 가능하다 |
ㆍ 추진기지 및 도달기지 설치 ㆍ 강관의 후단을 전방으로 추진 ㆍ 강관내 토사를 인력 또는 장비에 의해 배출 ㆍ 내관 설치 후 내/외관 사이 그라우팅 |
ㆍ 실드보다 규모가 작은 터널시공시 적용 ㆍ 발진구 및 도달구 시공 ㆍ 지하수위가 높거나 정밀시공을 요할 시 적용 효과적 ㆍ 관내 토사를 배토와 동시에 추진관압입 ㆍ 이수가압식 (SLURRY RYPE)과 토압식 (AUGER TYPE)으로 대별 |
장점 |
ㆍ 공사기간이 단축 ㆍ 공사비가 비교적 저렴 ㆍ 주변 구조물에 변형이 적다 ㆍ 복잡한 도심지역에도 유용하다 |
ㆍ 소음, 진동이 적다 ㆍ 암반의 지반에도 시공가능 ㆍ 정밀시공이 가능하다 ㆍ 여건에 따라 지장물의 확인 가능 |
ㆍ 지반 변위 최소화 ㆍ 정밀시공 및 곡선시공이 가능 ㆍ 추진속도가 높다 ㆍ 다양한 토질에 대한 적응성이 높다 |
단점 |
ㆍ 암반, 호박층들이 등이 지반에 작업 가능 작업시간이 유동적이다 ㆍ 강관추관이 가능하나 대구경 강관불가 |
ㆍ 선형 및 레벨조정이 곤란 ㆍ 조정시 상부층의 여굴발생 및 이로 인한 공기 손실 및 재해발생 가능성 ㆍ 정특히 연암층인 경우 인위적 여굴발생이 불가피함 |
ㆍ 장비의 대형화 ㆍ 공사비가 고가 ㆍ 협소한 장소에 불리 |
토질조건 | ㆍ 암반 자갈 모래층에 시질토 전토등에 가능 | ㆍ토사 및 암반까지 범용성이 있음 | ㆍ 모든 토질에 적용가능 |
시공성 | ㆍ 추진속도가 비교적 빠르다 | ㆍ지하수위가 높거나 토질변화가 심할시 공기 손실이 큼 | ㆍ 기계화로 배토 등 추진성이 높다 |
정밀도 | ㆍ 균질이 토사일 경우 정밀도가 비교적 높다 | ㆍ 토질변화가 심하거나 잦은 레벨 조정시 정밀도 편차 발생 | ㆍ 곡선시공 등 정밀도가 가장 높다 |
주변환경 | ㆍ 주변 구조물에 변형이 적게 시공가능 | ㆍ 지하수위 저하와 토사유출로 주변 상황에 따라 변형이나 침하 등 영향이 우려됨 | ㆍ 기계화로 베토 등 추진성이 높다 |
적용성 | ㆍ 토질상애테 따라 제약이 따르며 특히 곡선시공으로 연장이 늘어나며 협소 공간에 적용 곤란 | ㆍ 토지상태나 현장여건에 따라 간섭이 다소 있음 | ㆍ 토질상태나 지하수위 등에 영향을 받지 않고 시공가능 |
공사기간 | ㆍ 공사기간이 단축 | ㆍ 현장 여건에 따라 변화가 있다 | ㆍ 기계굴착 및 배토로 추진 속도가 높다 |
경제성 | ㆍ 타 공법에 비해 공사비가 저렴하다 | ㆍ 선형 및 레벨조작으로 공기손실 및 공사비 과다 투입발생 우려 | ㆍ 공사비가 다소 높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