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미쉴드공법

토압식

밀폐형 토압식 추진기를 선도체로서 각작업구내에 설치한 쟈키의 추진력에 의하여 관을 추진한다.
회전너트헤드로 굴착한 토사를 막장과 격벽사이의 거트챔버내에 충만시켜 추진력에 의해 가압하고 그 굴착토를 막장전체에 작용시켜 안정을 도모하는 공법

적용토질 장단점
ㆍ 실트, 점토의 함유율 30%이상의 토질 ㆍ 체수사층의 막장의 안정을 확실히 수행할 수 없다
ㆍ 플랜트야드가 컴팩트하다
ㆍ 일진량이 유체식(니수식, 니농식)에 비해 적으므로 공기가 길어짐

이수식

굴진기 전면의 커트 후방에 격벽을 설치하고 막장과 격벽사이의 니수실에 지하수압에 대항하는 니수를 압송하고 막장의 안정을 도모해가면서 커트를 회전시켜 굴착, 추진을 수행함. 유체수송한 굴착토 및 니수를 갱외에서 설치한 처리프랜트로 처리를 수행함

적용토질 장단점
ㆍ 실트, 점토의 함유율 30%이상의 토질 ㆍ 체수사층의 막장의 안정을 확실히 수행할 수 없다
ㆍ 플랜트야드가 컴팩트하다
ㆍ 일진량이 유체식(니수식, 니농식)에 비해 적으므로 공기가 길어짐

이농식

굴착기 전면의 커터후방에 격벽을 설치하고 막장과 격벽사이의 커트챔버내에 고농도의 니수를 압송 충진하고 막장의 안정을 도모해가며 커터를 회전시켜 굴착추진을 수행한다.
굴착한 토사는 고농도니수와 혼합 교반하여 유동화시켜 막장을 안정해가며 간헐적으로 배토하고, 반송 가능한 크기로 선정하여진공력에 의해 반출함
갱외로 반출된 굴착토사는 배터 저류조를 거쳐 버큠카로 직접 운반처분하던지 고화처리후 덤프트럭으로 운반 처분한다.

적용토질 장단점
ㆍ 점성토, 사질토, 사력토 (자갈경MAX 20mm이상으로 추진관경의 30% 미만으로 또는 450mm미만, 자갈 함유율 30~80% 미만)
ㆍ 투수계수의 상한은 10-1cm / sec까지 지하수압은 상한을 2kgf/m정도까지로 함
ㆍ 고농도의 니토를 사용하기 때문에 일탈이 거의 없다
ㆍ 곡선추진에 가장 유리함
ㆍ 자상설비는 니수식의 대형 니수처리설비에 비교해서 적은 작니설비로 끝나 굉음, 진동도 적고 주변환경에 주는 영향도 적음
ㆍ 배토가 산업폐기물로 취급되어 처리비용이 소요됨
ㆍ 오버컷한 여굴부에 고농도 니수압이 전파되므로 장거리 추진이 가능함